Stack 3

[Java] 컬렉션(Collection)

List 인터페이스 - 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집합 - 중복을 허용 - ArrayList, LinkedList, Stack, Vector 등 Set 인터페이스 - 순서를 유지하지 않는 데이터의 집합 - 중복을 허용하지 않음 - HashSet, TreeSet 등 Map 인터페이스 - Key와 Value의 쌍으로 이뤄진 데이터의 집합 - 순서를 유지하지 않음 - Key는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, Value는 중복을 허용 - HashMap, TreeMap, Hashtable, Properties 등 LinkedList 배열의 단점 1. 크기를 변경할 수 없다. 변경하려면 새로운 배열을 생성해서 데이터를 복사해야한다. - 실행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충분히 큰 크기의 배열으르 생성해야 하므로 메모리가 낭비된다. ..

Back End/JAVA 2022.05.21

DFS(깊이 우선 탐색 -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)

탐색이란 많은 양의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과정 DFS(Depth-First Search) - 깊이 우선 탐색, 깊은 부분을 우선적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다. - DFS는 스택 자료구조(or 재귀함수)를 이용한다. 동작과정 1. 탐색 시작 노드를 스택에 삽입하고 방문 처리를 한다. 2. 스택의 최상단 노드에 방문하지 않은 인접한 노드가 하나라도 있으면 그 노드를 스택에 넣고 방문 처리. 2-1. 방문하지 않은 인접노드가 없으면 스택에서 최상단 노드를 꺼낸다. 3. 2번의 과정을 수행할 수 없을 때까지 반복 ( 조건) 낮은 수부터 방문 ) Java 구현 소스 방문에 대한 검증시 for문 안에서 재귀함수가 사용되고, 재귀함수가 종료 될 시 반복문이 이어서 다시 진행된다. import java.u..

Algorithm 2022.05.18

[Java]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정리 1

💡 객체지향언어 1.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다. : 새로운 코드를 작성할 때 기존의 코드를 이용하여 쉽게 작성할 수 있다. 2. 코드의 관리가 용이하다. : 코드간의 관계를 이용해서 적은 노력으로 쉽게 코드를 변경할 수 있다. 3. 신뢰성이 높은 프로그래밍을 가능하게 한다. : 제어자와 메서드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보호하고 올바른 값을 유지하도록 하며, 코드의 중복을 제거하여 코드의 불일치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. 재사용성, 유지보수, 중복된 코드의 제거가 핵심! 💡 클래스와 객체 객체 : 클래스에 정의된 내용대로 메모리에 생성된 것. 인스턴스 :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객체 ->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만드는 과정을 클래스의 인스턴스화 객체는 모든 인스턴스를 대표하는 포괄적인 의미 클래스 ----(인스..

Back End/JAVA 2022.05.15